정부가 저소득층의 문화 격차 해소를 위해 1인당 14만 원을 지원하면서 문화생활, 여행, 스포츠 등 다양한 활동을 누릴 수 있는 문화누리카드 복지 혜택을 주목해주세요. 이번 글에서는 문화누리카드의 발급 대상, 사용처, 신청 방법, 잔액조회까지 꼭 알아야 할 정보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문화누리카드란?
문화누리카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관하여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게 문화예술, 여행, 체육 활동을 위한 비용을 지원하는 카드입니다.
이 카드는 매년 일정 금액이 충전되며, 2025년에는 1인당 14만원이 지급됩니다. 영화, 공연, 서점, 여행, 체육시설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어 문화생활의 문턱을 크게 낮춰주는 역할을 하고 있죠.
문화누리카드 발급 대상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문화누리카드를 신청할 수 있어요.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차상위계층: 자활근로자, 장애수당·장애아동수당 수급자
- 기타 대상자: 장애인연금 부가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본인부담경감 대상자 등
본인이 대상자인지 헷갈린다면 주민센터나 누리집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확인 가능합니다. 2025년에는 역대 최고 금액인 14만원이 지원됩니다. 문화생활을 계획하고 있다면 올해는 꼭 챙겨보세요.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5만원 | 6만원 | 7만원 | 8만원 | 9만원 | 10만원 | 10만원 | 11만원 | 13만원 | 14만원 |
문화누리카드 신청 방법
문화누리카드는 아래의 3가지 방법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1.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신분증을 지참하여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방문
- 현장 발급 또는 우편 수령
2. 온라인 신청
- 문화누리카드 누리집(www.mnuri.kr) 또는 앱을 통해 신청
- 본인 인증 후 우편으로 카드 수령
3. 전화 신청 (재충전 시 가능)
- 1544-3412 문화누리카드 고객센터를 통해 간편 신청
📌 신청 기간은 2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지역별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서둘러 신청하세요!
문화누리카드 신청하기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총정리
카드가 생기면 어디서 쓸 수 있는지 궁금하시죠?
문화누리카드는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다양한 곳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온라인 사용처
- 도서/문구: 알라딘, YES24, 영풍문고, 밀리의 서재, 네이버웹툰 등
- 음악/스트리밍: 멜론, 지니뮤직, 벅스, 서울레코드
- 영화/OTT: 넷플릭스, 티빙, 디즈니+, 웨이브
- 공연/티켓: 인터파크 티켓, 예스24 공연 등
🔸 오프라인 사용처
- 영화관: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 서점: 교보문고, 반디앤루니스, 영풍문고
- 공연장/미술관: 예술의 전당, 국립극장, 멜론티켓, 옥션티켓
- 체육시설: 헬스장, 수영장, 요가센터
- 여행/교통: KTX, 고속버스, 아시아나항공, SRT,티웨이항공, 시외버스
- 테마파크: 에버랜드, 롯데월드, 케리비안베이
- 체육용품: 자전거, 운동용품 등
문화누리카드 잔액 조회 방법
카드 사용 후 잔액이 얼마 남았는지 확인하는 방법도 쉽습니다.
- 문화누리카드 누리집 로그인 → “카드사용내역 및 잔액확인” 메뉴
- 문화누리카드 앱 다운로드 후 로그인
- 고객센터 ARS(1544-3412) → 카드번호+생년월일 입력
- NH농협카드(1644-4000) → 기프트카드(7번) → 문화누리카드(5번) → 잔액조회(1번)
📱 문자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면 결제 시 자동으로 잔액도 문자로 받아볼 수 있어요!
문화누리카드 어플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 문화누리카드 어플 다운로드 (애플) ❯❯사용 시 주의사항
- 본인만 사용 가능: 타인에게 양도, 대여 불가
- 유효기간 확인: 매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잔액 자동 소멸
- 사용처 사전 확인: 일부 가맹점은 불가할 수 있으니 공식 누리집에서 미리 확인
마무리: 문화누리카드로 삶에 문화를 더하세요
문화누리카드는 단순한 복지카드를 넘어
저소득층이 다양한 문화 경험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2025년엔 지원 금액도 14만원으로 상향되었으니,
발급 대상자라면 놓치지 말고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