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물가도 오르고, 한 달 생활비가 빠듯하다는 분들 정말 많으시죠. 저도 그런 상황 속에서 정부 지원 제도를 하나씩 찾아보다가 ‘희망저축계좌2’라는 걸 알게 됐어요. 매달 10만 원만 저축해도 3년 후엔 최대 1,080만 원까지 모을 수 있는 제도예요.
그런데 조건이 꽤 까다로워 보였고, 저처럼 기초생활수급자에서 탈수급한 경우, 또는 다른 정부 지원제도와 중복되는 경우도 희망저축계좌2를 신청이 가능한지 궁금하더라고요. 그래서 직접 경험해보고 느낀 점 (후기)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희망저축계좌2란?
이 제도는 말 그대로 일하는 저소득 가구가 매달 저축을 하면, 그에 맞춰 정부가 장려금을 지원해주는 방식이에요. 기본적으로 매달 10만 원씩 저축하면,
- 1년 차에는 정부가 10만 원
- 2년 차엔 20만 원
- 3년 차엔 무려 30만 원까지 함께 적립해줘요.
이걸 3년간 꾸준히 유지하면 본인 저축 360만 원 + 정부 지원 720만 원 = 총 1,080만 원이라는 큰 돈이 모이게 되죠. 게다가 이자까지 붙으니까 실제 수령 금액은 더 많아질 수 있어요.
희망저축계좌2 신청 조건
많은 분들이 “기초생활수급자만 되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시는데, 그건 오해예요. 주거급여나 교육급여를 받는 가구, 또는 기초수급은 아니지만 차상위 계층으로 인정받는 분들도 신청이 가능해요.
단,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은 꼭 충족해야 해요.
쉬운 말로 하면, 일을 하고 있어야 신청할 수 있다는 뜻이죠.
탈수급한 경우도 지원 가능할까?
이건 제가 직접 겪은 부분이라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어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수급자에서 벗어나더라도 소득이 기준 이하라면 그대로 유지가 가능합니다.
제가 희망저축계좌2를 처음 신청할 때는 주거급여 수급자였는데요. 이후에 월급이 조금 오르면서 수급 기준을 초과하게 됐어요. 그래서 탈수급 통보를 받았죠. 순간 “이러면 정부 지원도 다 끊기는 거 아닌가?” 싶었는데, 다행히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상태라면 계좌 유지 가능하다는 걸 알게 됐어요. 즉, 수급 자격은 잃더라도 소득만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면 정부 장려금도 계속 받을 수 있어요.
소득기준표 한눈에 보기 (2025년 기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소득이면 괜찮은지 궁금하실 수 있는데요. 2025년 기준으로 보면 다음과 같아요.
구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
기준 중위소득 | 2,392,013원 | 3,932,658원 | 5,025,353원 | 6,097,773원 | 7,108,192원 |
가입 및 유지 기준 (소득하한) | 1,196,007원 | 1,966,329원 | 2,512,677원 | 3,048,887원 | 3,554,096원 |
유지 기준 (소득상한) | 5,025,353원 | 5,025,353원 | 5,025,353원 | 6,097,773원 | 7,108,192원 |
소득이 이 기준을 넘지 않으면, 수급이 아니더라도 희망저축계좌2를 유지하거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희망저축계좌2 중복 참여
희망저축계좌2는 정부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자산형성 사업이기 때문에, 유사한 다른 사업과는 중복 참여가 불가능해요.
‘희망플러스 통장’이나 ‘청년내일저축계좌’ 같은 다른 자산지원 프로그램에 이미 참여 중이라면 중복 신청이 불가합니다. 하지만, 아동 대상 통장인 꿈나래통장, 디딤씨앗통장 등은 중복 참여가 가능해요.
저는 예전에 디딤씨앗통장에 아이가 가입돼 있었는데, 해당 통장은 본인 기준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 없이 신청할 수 있었어요.
실제 신청 방법과 팁
신청은 거주지 동 주민센터에 가서 해야 해요.
온라인 신청은 일부 지자체만 되고, 거의 대부분은 오프라인 접수예요.
제가 방문했을 때는 아래 서류를 준비하라고 안내받았어요.
- 신분증
- 근로소득 증명 서류 (급여명세서, 사업소득 원천징수 등)
- 신청서
- 자금사용계획서
- 자립역량교육 예정 확인서
※ 신청서류는 미리 준비하면 접수도 빠르고 수월해요.
2025년 신청 일정
희망저축계좌2는 매년 3차례 모집이 진행돼요. 2025년 일정은 다음과 같아요.
- 1차 모집: 2025년 4월 1일 ~ 4월 22일
- 2차 모집: 2025년 7월 1일 ~ 7월 22일
- 3차 모집: 2025년 10월 1일 ~ 10월 24일
3차 일정이 얼마 안 남았으니, 미리 서류 준비해두시는 걸 추천드려요.
자립역량교육 수강방법
많이들 걱정하시는 게 ‘자립역량교육’인데요, 이건 사실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총 10시간만 이수하면 되고, 온라인 강의도 지원돼서 저는 퇴근 후에 조금씩 나눠서 들었어요.
이수 확인서만 출력해서 제출하면 완료예요.
후기
희망저축계좌2에 대해 작성해보았네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처음엔 ‘서류도 많고 까다롭다’는 인상이 강했어요.
그런데 조건을 제대로 알고, 미리미리 준비하니까 생각보다 빠르게 접수도 됐고,
지금은 매달 통장에 정부 장려금이 들어오는 걸 보면서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조금 번거롭더라도 한 번 도전해보시면, 그 가치를 직접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
주변에 조건이 맞는 분들이 있다면 꼭 공유해 주세요!